정부 지원 퇴비 신청 방법
농협에서 퇴비를 지원받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째, 정부의 퇴비 지원 사업을 통해 신청하는 방법이고, 둘째, 농협을 통해 자체적으로 판매하는 퇴비를 구입하는 방법입니다.
정부 지원 퇴비를 받으려면, 농업경영체에 등록된 농업인이어야 하며, 신청 기간과 절차를 준수해야 합니다.
1. 농협을 통한 정부 지원 퇴비 신청 방법 (공공비축 퇴비 지원)
정부에서는 농가의 경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퇴비 및 유기질 비료 지원 사업을 운영합니다. 이 사업을 통해 일정량의 퇴비를 보조금이 포함된 저렴한 가격에 구입할 수 있습니다.
✅ 신청 대상
- 농업경영체 등록이 된 농업인 및 농업법인
- 실제 농사를 짓고 있는 농가 (경작 면적이 있어야 함)
- 경작지와 농업 활동이 확인될 수 있어야 함
✅ 신청 시기
- 매년 11월~12월 (다음 해 사용할 퇴비를 미리 신청하는 방식)
- 지역별 신청 기간이 다를 수 있으므로 거주지 농협(지역농협)에 문의 필요
✅ 신청 방법
- 농업경영체 등록 확인: 농업경영체로 등록되어 있어야 지원 가능
- 거주지 농협 방문: 주소지 관할 지역농협(농축협) 방문
- 퇴비 지원 신청서 작성: 필요한 퇴비 종류 및 수량 선택
- 지자체 심사 후 배정: 신청 결과에 따라 공급량 확정
- 퇴비 수령: 지정된 일정에 맞춰 농협에서 퇴비 수령
✅ 지원되는 퇴비 종류
- 유기질 비료
- 가축 분뇨 퇴비
- 부숙 유기질 비료
- 기타 친환경 퇴비
✅ 지원 혜택
- 퇴비 가격의 50~80%를 정부가 지원
- 농가에서는 저렴한 가격으로 퇴비 구매 가능
2. 농협에서 직접 퇴비 구입하기
정부 지원 퇴비 외에도, 농협에서는 자체적으로 퇴비를 판매합니다.
지원 신청 기간을 놓쳤거나 추가 퇴비가 필요한 경우, 직접 농협에서 퇴비를 구매할 수 있습니다.
✅ 구매 방법
- 가까운 지역농협 방문
- 원하는 퇴비 종류 및 수량 선택
- 가격 확인 후 현장 구매 또는 배달 요청
- 배달 요청 시 일정 확인 후 수령
✅ 퇴비 가격
1. 정부 보조 퇴비 가격 (2024년 기준, 20kg 포대 기준)
정부 보조금이 포함된 실제 농가 부담금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가격은 지역 및 업체에 따라 차이가 있음)
퇴비 종류 | 가격(20kg 기준) | 농가 실부담금(보조금 적용) |
혼합유박 | 6,000~7,500원 | 2,000~3,000원 |
혼합유기질 | 5,500~7,000원 | 2,000~3,000원 |
유박비료 | 6,000~8,000원 | 2,500~3,500원 |
부숙유기질 1호 | 4,500~6,000원 | 1,500~2,500원 |
부숙유기질 2호 | 3,500~5,000원 | 1,000~2,000원 |
돈분퇴비 | 4,000~6,000원 | 1,500~2,500원 |
계분퇴비 | 4,500~6,500원 | 1,500~2,500원 |
우분퇴비 | 4,000~5,500원 | 1,500~2,500원 |
- 가격은 지역 및 업체마다 다를 수 있으며, 신청 후 지자체 승인에 따라 변동 가능
- 신청은 매년 11월~12월에 진행되며, 다음 해 사용할 퇴비를 미리 신청해야 함
- 정부 보조 퇴비는 농협을 통해 신청 후 배정받아야 하며, 개별 구매는 불가능
2. 농협에서 판매하는 일반 퇴비 (비보조 퇴비)
정부 지원 퇴비 외에도 농협에서는 자체적으로 퇴비를 판매합니다.
지원 신청 기간을 놓쳤거나 추가 퇴비가 필요한 경우, 농협 매장에서 직접 구매 가능합니다.
(※ 가격은 지역 농협마다 다름)
퇴비종류 | 가격 (일반 판매) |
일반 유기질비료 | 7,000~10,000원 |
일반 부숙유기질 1호 | 6,000~8,000원 |
일반 부숙유기질 2호 | 5,000~7,000원 |
가축 분뇨 퇴비 (돈분, 계분, 우분) | 6,000~9,000원 |
친환경 퇴비 (미생물 발효) | 8,000~12,000원 |
- 정부 지원 퇴비보다 가격이 높을 수 있음
- 농협 매장 또는 온라인몰(농협몰)에서 구매 가능
- 일부 품목은 배달 서비스 제공 (농협에 문의 필요)
3. 퇴비 신청 시 유의할 점
- 신청 기간을 반드시 지킬 것 (신청 후 변경이 어려움)
- 농업경영체 등록이 되어 있어야 함
- 퇴비 종류와 필요량을 미리 계산하여 신청할 것
- 농협에서 배달 가능 여부 확인 필수
4. 추가 정보 및 문의처
- 거주지 관할 지역농협(농축협)
- 농림축산식품부 홈페이지 (https://www.mafra.go.kr)
- 농업경영체 등록 관련 문의: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1644-8778)
퇴비 지원 신청을 잘 활용하면 농업 경영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각 농가에 원하는 장소와 날짜에 맞춰 배달까지 해주고 있습니다. 간혹 배달하시는 업체를 통해 보조가격으로 추가구매 할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깜지로그 > 내게만 유용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리와 밀의 재배 방법 및 관리 방법 (0) | 2025.03.0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