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농 후 이야기

곤충산업의 현황과 미래 방향

깜지(kamzi) 2025. 2. 22. 12:07
반응형

곤충산업의 현황과 미래 방향

1. 서론

세계적으로 식량 부족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인구 증가, 기후 변화, 농경지 감소 등의 요인으로 인해 전통적인 가축 사육 방식으로는 미래 식량 수요를 충족시키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곤충산업이 주목받고 있다.

 

곤충은 기존 축산업보다 훨씬 적은 자원을 사용하면서도 단백질 함량이 높고 환경 오염을 줄일 수 있는 대안 식량으로 평가받는다. UN 식량농업기구(FAO)는 2013년 보고서를 통해 곤충을 미래 식량으로 지정했으며, 유럽, 북미, 아시아 등에서 식용 및 사료용 곤충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한국에서도 곤충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하기 위해 2010년 ‘곤충산업육성법’을 제정하고, 2016년부터 제2차 5개년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국내 곤충산업은 식용, 사료, 학습, 애완, 환경정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관련 연구개발(R&D)과 제도 정비도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본 글에서는 곤충산업의 국내외 현황과 미래 방향을 종합적으로 살펴본다.

 

2. 곤충산업의 필요성과 배경

 

1) 미래 식량 문제와 곤충의 역할

  • 세계 인구는 2050년 약 96억 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며, 현재보다 2배 이상의 식량이 필요하다.
  • 기후변화로 인해 곡물 생산량이 감소하면서 기존 농업 및 축산업만으로는 지속 가능한 식량 공급이 어려워지고 있다.
  • 곤충은 사료 효율성이 뛰어나고 온실가스 배출이 적으며, 사육 시 필요한 물과 토지 면적이 최소화된다.

2) 곤충의 영양적 가치와 산업적 가치

  • 곤충은 고단백, 고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고 있으며,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하다.
  • 기존 육류보다 사육 효율이 높아 경제적으로도 우수하다.
  • 곤충의 다양한 기능성 물질이 의약, 화장품, 건강기능식품 분야에서도 활용 가능하다.

 

 

3. 국내외 곤충산업 현황

 

1) 세계 곤충산업 동향

  • 현재 약 1,900여 종의 곤충이 식용으로 이용되며, 약 20억 명이 곤충을 섭취하고 있다.
  • 2007년 11조 원 규모였던 세계 곤충산업 시장이 2020년에는 38조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 국가별 주요 동향

             - 미국: FDA(식품의약품안전청)의 관리 아래 곤충 단백질 제품이 시장에 진출 중이다.

             - 유럽: 식용곤충의 GMP(우수제조시설) 인증이 필요하며, 벨기에는 2013년 곤충 10종을 식용으로 허가했다.

             - 일본: 식품위생법과 동물애호관리법을 기반으로 곤충산업을 관리하며, 곤충 기반 기능성 식품을 연구 중이다.

             - 중국: 누에 번데기, 집파리 유충, 바구미 유충 등을 활용한 산업이 발달했다.

 

2) 한국 곤충산업 현황

  • 시장 규모: 2015년 3,039억 원에서 2020년 1조 원 규모로 성장 예상.
  • 사육 농가: 2011년 265호 → 2016년 1,261호로 증가.
  • 관련 법률: 2010년 곤충산업육성법 제정, 2016년부터 제2차 5개년 계획 추진.
  • 곤충 용도별 시장 성장: 식용곤충과 사료곤충 시장이 가장 빠르게 성장 중.

 

 

4. 곤충산업의 주요 분야

 

1) 식용곤충

한국의 식용곤충 승인 현황

현재 한국에서는 7종의 곤충이 식용으로 공식 허가되었다.

  • 공식 허가된 식용곤충(7):

             - 누에 (번데기)

             - 백강잠

             - 갈색거저리 유충 (고소애)
             -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꽃벵이)

             - 장수풍뎅이 유충 (장수애)

             - 쌍별귀뚜라미 (쌍별이)
             - 
벼메뚜기

  • 2017년 한시적 승인 품목(3):

             - 아메리카왕거저리

             - 풀무치

             - 수벌번데기

 

이러한 곤충들은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기준에 맞춰 안전성을 검증받았으며, 건강식품 및 일반 식재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곤충산업의 현황과 미래 방향

식용곤충의 영양적 가치

식용곤충은 기존 축산물보다 단백질 함량이 높고, 불포화지방산과 비타민, 무기질이 풍부하여 건강식품으로 각광받고 있다.

  • 단백질 함량 비교

             - 소고기: 20~25%

             - 닭고기: 23%

             - 귀뚜라미(곤충 단백질): 65~70%

  • 기타 영양 성분

             - 철분, 아연, 칼슘 등 미네랄이 풍부

             - 오메가3, 오메가6 등 불포화지방산 포함

             - 식이섬유(키틴)가 풍부해 장 건강에 도움

 

곤충 단백질의 환경적 장점

기존 가축 사육은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고, 사료와 물 사용량이 크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비해 곤충 단백질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진다.

  • 사육 효율성:

             - 귀뚜라미 1kg 생산에 필요한 사료: 1.7kg

             - 소고기 1kg 생산에 필요한 사료: 10kg

  • 온실가스 배출량

             - 곤충은 온실가스를 거의 배출하지 않음 (소고기 생산의 1% 수준)

  • 물 사용량:

             - 소고기 1kg 생산에 약 22,000L 필요

             - 곤충 1kg 생산에 1~2L의 물만 필요

 

이러한 환경적 장점 덕분에 곤충 단백질은 지속 가능한 식량원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국제 사회에서도 미래 식량으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식용곤충 시장의 전망

세계 식용곤충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2020년 기준 약 38조 원 규모로 추정된다. 한국에서도 곤충을 활용한 단백질 바, 분말, 건강식품 등이 출시되면서 소비자 인식이 점차 개선되고 있다.

앞으로 곤충 식품 시장이 더욱 확대되기 위해서는 안전성 연구, 대중 인식 개선, 제품 다양화 등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2) 사료곤충

사료곤충의 주요 종류

사료곤충은 단백질과 지방 함량이 높아 양식어류, 가축, 반려동물 사료로 활용되고 있다. 특히 다음과 같은 곤충들이 사료로 가장 많이 사용된다.

  • 동애등에 (Hermetia illucens)

             - 음식물 쓰레기와 유기물을 빠르게 분해하며 성장하여 친환경적.

             - 단백질(42~55%)과 지방(29%) 함량이 높아 어류 및 가금류 사료로 적합.

             - 면역력 강화에 도움을 주는 항균 펩타이드 포함.

  • 귀뚜라미 (Gryllus bimaculatus, Acheta domesticus)

             - 단백질 함량이 65~70%로 매우 높아 가축 및 양식어류 사료로 활용.

             - 오메가3, 오메가6 등 필수지방산이 풍부하여 영양 가치가 높음.

  • 갈색거저리 (Tenebrio molitor, 고소애)

             - 단백질과 무기질이 풍부하며, 성장 속도가 빨라 대량 생산이 가능.

             - 반려동물, 가금류, 어류 사료에 사용되며, 소화율이 높아 가축 성장 촉진 효과가 있음.

 

곤충 사료의 영양적 장점

곤충은 기존 가축 사료(옥수수, 대두 단백질)보다 영양 가치가 높고, 소화율이 우수하며,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다.

  • 단백질 함량 비교

             - 옥수수: 9%

             - 대두 단백질: 40%

             - 귀뚜라미 단백질: 65~70%

             - 동애등에 단백질: 42~55%

  • 기능성 물질 포함

             - 면역력 강화: 동애등에 유충에는 항균 펩타이드가 포함되어 있어 가축의 질병 예방 효과가 있음.

             - 소화율 개선: 곤충의 키틴 성분이 장 건강을 도와 소화 흡수율을 높임.

 

곤충 사료의 환경적 장점

기존 가축 사료(옥수수, 대두)경작지와 물 사용량이 많아 환경 부담이 크다. 반면, 곤충은 훨씬 적은 자원으로 생산 가능하다.

  • 사료 효율성 비교

             - 소고기 1kg 생산에 필요한 사료: 10kg

             - 돼지고기 1kg 생산에 필요한 사료: 5kg

             - 귀뚜라미 1kg 생산에 필요한 사료: 1.7kg

  • 온실가스 배출량

             - 곤충은 소고기 생산의 1% 수준의 온실가스만 배출.

             - 사료 곤충의 활용은 기후 변화 대응 및 탄소 배출 저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사료곤충 시장의 전망

  1. 세계 곤충 사료 시장은 2020년 약 8조 원 규모에서 2030년에는 20조 원 이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2. 한국에서도 동애등에, 귀뚜라미, 갈색거저리를 활용한 가축 및 반려동물 사료 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이며, 향후 곤충 사료가 기존 사료를 대체하는 비율이 점점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3)산업곤충

정서곤충

정서곤충은 사람들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주거나, 애완용으로 키울 수 있는 곤충을 의미한다.

  • 대표적인 정서곤충:

             - 장수풍뎅이, 사슴벌레: 어린이와 청소년들에게 인기 있는 애완곤충으로, 키우기 쉽고 관찰이 용이함.

             - 나비, 잠자리: 자연 생태학습 및 정서적 안정에 도움을 주는 곤충으로 활용됨.

  • 활용 사례:

             - 곤충 체험 학습장, 생태 공원에서 전시 및 체험 활동 진행.

             -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곤충 키우기 프로그램 운영.

 

치유곤충

치유곤충은 곤충을 이용하여 질병 치료나 재생 의료 등에 활용하는 분야를 의미한다.

  1. 대표적인 치유곤충 및 활용:
    • 파리 유충 (Maggot Therapy):

             - 욕창이나 난치성 상처 치료에 이용됨.

             - 죽은 조직을 제거하고 감염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음.

             - 미국 FDA에서도 치료제로 승인받아 일부 병원에서 사용 중.

    • 누에 유래 실크 단백질:  의료용 봉합사, 인공 피부, 조직 재생 등에 활용됨.
    • 장수풍뎅이 유충 추출물: 항염 및 항산화 효과가 있어 건강기능식품 원료로 연구 중.

환경정화곤충

환경정화곤충은 유기물 분해 및 환경 보호에 도움을 주는 곤충들이다.

  1. 대표적인 환경정화곤충:
    • 동애등에 (Black Soldier Fly, Hermetia illucens)

             - 음식물 쓰레기와 가축 분뇨를 분해하여 사료나 비료로 재활용 가능.

             - 생육 속도가 빠르고, 잔여물 없이 깔끔하게 분해하여 친환경적임.

    • 지렁이 (Earthworm)

             - 퇴비 생산 및 토양 개량에 이용됨.

             - 음식물 쓰레기 및 유기 폐기물 분해 역할 수행.

  1. 활용 사례:
    • 음식물 쓰레기 처리 공장에서 동애등에를 활용한 분해 시스템 도입.
    • 농업 분야에서 지렁이를 활용한 친환경 퇴비 생산.

 

첨단 응용곤충

곤충에서 추출한 특정 성분이 의약품, 화장품, 기능성 식품 등의 원료로 활용되는 분야이다.

  • 대표적인 첨단 응용곤충 및 활용:

             - 애기뿔소똥구리 (Copris tripartitus): ‘코프리신(Coprisin)’이라는 항균 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피부 치료제 및 화장품 원료로 활용.

             - 굼벵이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혈전 정화 및 면역력 강화 효과가 있는 인돌알칼로이드 성분 함유.

             - 누에 유래 실크 단백질: 의료용 실크 봉합사, 인공 피부, 생분해성 의료기기 등에 사용.

  • 활용 사례:

             - 화장품 및 의약품 업계에서 곤충 추출 성분을 활용한 기능성 제품 개발.

             - 곤충을 이용한 생분해성 신소재 연구 진행.

 

 

5. 곤충산업 발전을 위한 노력과 과제

 

1) 법적·제도적 정비

  • 곤충산업육성법 개정 추진(곤충을 가축 범주에 포함).
  • 식품 원료 등록 확대 및 안전 기준 마련.

2) 연구개발(R&D) 및 산업화 지원

  • 곤충 기반 기능성 식품 연구 개발.
  • 곤충 사료의 면역력 향상 기능 연구.

3) 곤충 소비 확대 및 홍보

  • 곤충식품 페스티벌, 박람회 개최로 대중 인식 개선.
  • 곤충 요리 경연대회 및 곤충 식품 시연 행사 진행.

4) 유통 및 생산 인프라 구축

  • 곤충 사육시설 현대화 지원.
  • 곤충 유통사업단 운영 및 가공시설 지원.

 

 

6. 결론

곤충산업은 식량 위기, 환경 보호, 지속 가능한 농업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중요한 대안 산업으로 자리 잡고 있다. 세계적으로 곤충 식품 시장이 급성장하는 가운데, 한국도 관련 법률 정비, 연구개발 투자, 소비 촉진을 통해 경쟁력을 키워야 한다.

 

곤충은 단순한 대체식량이 아니라 의약, 사료, 환경정화, 기능성 소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가능성이 크다. 앞으로 곤충산업이 더욱 발전하려면 체계적인 정책 지원과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필요하며, 소비자의 인식 변화와 시장 확대를 위한 노력이 지속되어야 한다.

반응형